[LINUX] chmod 명령어 (접근권한 부여 / 읽기, 쓰기, 실행)
chmod는 다른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때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생성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가 파일에 대한 제어를 할수 있는데,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다른 사용자에게 접근, 읽기, 쓰기 같은 권한을 주어야 할 경우가 있다. 소유자, 그룹, 익명사용자에게 각각 별도로 지정이 가능하며, 권한을 지정시 숫자, 알파벳기호, 특수문자를 통해 설정한다. 기본 문법 chmod [옵션] [--옵션] [모드] [파일] chmod [옵션] [--옵션] [8진수 모드] [파일]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c, --changes 올바르게 변경된 파일들만 -v 옵션을 적용하여 자세히 보여준다. -f, --silent, --quite 가능한 한 불필요한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고 간략하게 보여준..
2024. 3. 30.
[ORACLE] GREATEST, LEAST 함수 (하나의 행에서 최대값, 최소값 구하기)
흔히들 알고 있는 MAX, MIN 함수는 하나의 컬럼의 값(열 단위, COLUMN) 중에서 최대값, 최솟값을 구하는 함수이다.마찬가지로 이번에 알아볼 GREATEST, LEAST 라는 함수도 최대값,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이다.다만, 하나의 행(열거 리스트)에서 여러 컬럼의 값(행 단위, ROW)을 비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AX(COLUMN) : 대상 컬럼에서의 최대값 (열 단위, COLUMN)MIN(COLUMN) : 대상 컬럼에서의 최소값 (열 단위, COLUMN)GREATEST(expr1, expr2, ... ) : 대상 행(열거 리스트)에서의 최대값 (행 단위, ROW)LEAST(expr1, expr2, ... ) : 대상 행(열거 리스트)에서의 최소값 (행 단위, ROW)GREATEST/L..
2024. 3. 26.